

진짜 어른, 좋은 부모가 되는 법 (파트 2)
파트 2 나잇값 잘하는 어른 되기 자람가족학교를 이끌며 부모들에게 힘이 되어주는 이성아 대표와 [TV유치원 하나둘셋]의 하나 언니로 시작해 소외된 사람들을 돕는 사람숲 다문화연구소를 이끌고 있는 권금상 박사. 두 사람 이 이 시대의 어른아이들에게 전하는 '나잇값' 어드바이스. "어른이란? 나잇값을 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며 사는 사람." - 이성아 나 자신을 들여다보라! 진짜 어른이 보인다. 내가 정말 어른인지 스스로 물어보자 '당신은 어른인가?' 누구도 어른들에게 이런 질문을 하지 않는다. 이제 스스로에게 물어보자. 이 질문을 맞닥뜨렸을 때 우리는 '아직 어른이 아닌 것 같다' 또는 '어른이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라는 대답을 하게 된다. 그 다음엔 이 질문도 필요하다. '왜 어른이 아닌가?' 어른이라면 ~해야 하는데 나는 그렇지 않아서'라고 답하게 될 것이다. 당신이 생각하는 대답이 바로 정답이다. 35세가 생각하는 어른은 그런 것이다. 45


진짜 어른, 좋은 부모가 되는 법 (파트 1)
나이만 먹고 덩치만 큰 '어른아이'가 늘고 있다. 엄마 없이 아이를 못 키우는 마마걸과 엄마 없이 아무 결정도 못 하는 마마보이 그리고 어른답지 못한 부모들. 나이만 먹었을 뿐, 아직 어른이 되지 못한 어른아이들이 많은 시대다. 누구나 마음속에 아이가 하나 있다. 그 아이를 보듬고 진짜 어른이 되는 것이 우리의 숙제다. Part 1. '어른아이'의 시대를 생각하다 우리의 부모가 피터팬을 키웠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인 오스틀로이드 부족은 생일을 축하하지 않는다고 한다. 나이는 그냥 저절로 먹는 것이고, 아무 노력도 들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 숨을 쉬며 살아가는 한 우리는 가만히 있어도 한 살 한 살 나이를 먹는다. 그러니 스무 살이 되었다고, 결혼해서 아이를 낳았다고 어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성장은 했으나 성숙은 못한 어른아이. 미국 심리학자 댄 카일리는 이처럼 몸은 어른이지만 행동과 생각을 아이처럼 하며 책임을 거부하고 현실도피적인 모습을 보